제공파일 내역
-->국가지점번호 100Km 인덱스 EPSG 5179좌표계 : national_point_num_5179.zip

national_point_num_5179.zip

--> 국가지점번호 100Km 인덱스 EPSG 4326좌표계 : national_point_num_5179_to_4326.zip

national_point_num_5179_to_4326.zip


필자는 국가지점번호 격자를 이용하여 공간분석을 통해 국가지점번호를 알려주는 번호판 설치가 필요한 지역, 통신 음영 지역 중 비교적 사람의 왕래가 있어 무선기지국의 설치가 필요한 지역 추출을 위해 분석작업을 수행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국가지점번호가 "산악, 해양 등 비거주지역에서의 기관마다 서로 다른 위치표시체계를 일원화하여 소방·경찰·국립공원 등 관계기관이 정보공유·협업을 통해 신속한 구조·구급 등 취약지역의 안전관리체계 강화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면 이의 활용을 위한 정보의 제공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이지만 안타깝게도 홍보하는 자료 외에 활용을 위한 자료를 필자의 능력으로는 찾을 수 없었다.

도로명주소 사이트, 국가공간정보포털, 공공데이터포털, 공간정보오픈플랫폼 등 다양한 공공개방포털 어디에서도 국가지점번호를 정의하는 파일을 찾을 수 없었다.

왜 이렇게 자료찾기가 어려운가 고민해보니 다음과 같은 사유를 추정할 수 있었다.

1. 파일은 있으되 어떤 사유로 비공개
2. 공개해야하는 파일의 크기가 너무 크다 (실제 10m*10m 격자가 41억개 존재)
--> "가가"처럼 식별되는 100Km * 100Km 격자가 41개 존재
--> 각각의 격자는 10m * 10m 격자가 1억개 존재
--> 결국 서비스로 이행하여 공간 연산을 적용하기에 성능 문제 발생 가능성
3. "마다", "마라" 지역이 일본 영토를 포함(혹시 외교적인 문제!!)

결국 국가지점번호의 활용을 위해 직접 제작하기로 결정하고, EPSG:5179 좌표계를 기준으로 "가가"와 같이 식별되는 대표 인덱스 파일을 제작하고, 각각의 인덱스 파일을 별도로 제작하기로 결정함

"가나"로 식별되는 메인인덱스 파일은 41개의 ROW만 가짐으로 제작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었으나, 개별 10m x 10m 격자는 쉽지 않음을 알 수있었다.
시범적으로 서울을 포함하는 "다사"지역을 제작해 보니 파일크기만 무려 20G 이상으로 제작됨. 격자 조각 하나에 5쌍의 좌표로 구성된 Polygon이 존재함으로 80byte의 크기를 가지고 이게 1억건이니 좌표크기만으로 물리적 크기가 7.5G 정도 되는 것이 확인됨. 

단순하지만 제작할 수 있는 업무 절차는 정립되었고 이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방법론을 재정립하기로 함. 분명히 크기 문제는 제작 및 활용의 제약사항이 되었을 것이고 해결법은 직접 찾기로 결정함.

제작된 인덱스 파일을 Geoserver를 이용하여 서비스로 발행하여 QGIS에서 확인하고, Google Earth 위에서도 확인해 보니 행자부에서 배포하는 국가지점번호 (위 그림) 와 차이가 없음을 확인함

 

우선적으로 "가나"로 식별되는 메인 인덱스 파일을 필요한 분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무상으로 공개합니다. 

추후 세부 10m x 10m 격자 파일도 공개할 예정이나 프로그웍스는 공공기관이 아니므로, 무료개방은 하지 않겠습니다. 그러나 직접 제작하는 수고와 기간을 생각하면 납득할 수 있는 비용으로 과금하겠습니다.

제공파일 내역
-->국가지점번호 100Km 인덱스 EPSG 5179좌표계 : national_point_num_5179.zip

national_point_num_5179.zip

--> 국가지점번호 100Km 인덱스 EPSG 4326좌표계 : national_point_num_5179_to_4326.zip

national_point_num_5179_to_4326.zip


자세한 내용이나 문의는 방명록에 연락처 남겨주세요.

+ Recent posts